본문 바로가기

저축 연구

연금!!! 대강이라도 알고 하자!! 대강 보고 가세요~!!

먼저 연금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전적 정의부터 보자. 


[ 연금 ]  

국가나 사회에 특별한 공로가 있거나 

일정 기간 동안 국가 기관에 복무한 사람에게 해마다 주는 돈



그렇기에 공무원 등 국가 기관에 복무한 사람이 아니면 국가가 지급에 대한 보장을 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일반인이 국민 연금을 가입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 가입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보장은, 보장을 하진 않고 '지급할 책임이 있다.' 라고 명시 되어 있기에 보장은 아니라는 것 입니다.  


먼저 현재 이런 저런 이야기가 나오는 단점 부터 알아봅시다~!!




[ 단 점 ] 


- 저출산 문제... 만약 다음 세대 한 명당 노인 3명을 부양해야 한다면,,, 연금 고갈은 시간 문제



- 초고령화 사회...  100세 시대를 이야기 하는 요즘입니다.  아래 표에 따르면 26년에는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됩니다. 




-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인한 연금 수령시기 변동.   




[ 장 점 ] 

단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요~! 장점도 존재합니다~!!  


- 물가 인상률 반영

  현재 가지고 있는 돈이 시간이 지나도 그 가치를 가지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원금보장이라는 단어는 사실 원금이 그 원금이 아닌 것이지요. 어쨌든 물가 인상률이 반영되는 것은 매우 큰 장점 입니다. 


- 연금이 개시되고 사망신고가 되기 전 까지 연금 수령 가능

  100세 시대를 이야기 하니 예를 들어 65세 연금이 개시되고 100세까지 받으면 본인이 40대 중반에 시작한 경우라면 대충 계산해도 이득인 것이지요~!!




그래서......  


국민연금은 장단점이 있지만 3,40대는 가입해도 장점이 단점을 상쇄할 지점이 있기에 가입을 해도 손해는 아님. 



그러나 국민연금 외에.....   

연금저축, 연금보험, 연금펀드... 등 연금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상품을 가입할 때에는 연금 개시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소득에 대한 세금과 그 세금으로 인한 건강보험료 인상 등을 고려해서 가입해야 함.  가입시 반드시 주의가 필요함!!!  







 [ 문의 및 상담안내 ]  

카톡: temptress

손전화: 010-9505-8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