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이슈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7.06. 미국 금리 인상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다. (2017.06.) 할 줄 알았다. 우리 주식 시장도 미리 예상했기에 요동 치지 않았다. 이러다 금리 역전 되서 자본들이 유출 되는거 아니냐 하는 염려를 할 수 있지만, 그건 봐야 한다. 과거를 봐도 미국과 금리가 역전 된 적이 여러 번 있었다. 이제 우리 나라가 금리를 어떻게 할지 봐야 할 것 같다. 따라 올리자니 가계부채가 있고, 동결 하자니 자금 유출이 있을 것 같고.... 금융당국도 가계부채와 금융시장의 흐름을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하니 일단 지켜보자. 더보기 사드 보복.... 대우 조선 법정관리... 대통령 잘 뽑자~!!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심각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것 같다. '같다' 라기 보다 그렇다. 심각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가 이어지며 롯데는 계속 피해를 보고 있다. 중국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한 국가를 상대하는 것 보단 기업을 상대하는 것이 훨씬 수월했을 것이다. 문을 닫은 업체가 늘어나고, 중국인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롯데 뿐만 아니라 관광 업체들도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중국 단체 관광객이 많았던 업체일수록 피해가 클 것이다~ 기어서 기업 이미지도 나빠지고 있는 상황... 경향 신문 :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03212128045&code=920501 그리고 지금도 진행 중인 대우조선 문제... 지금 시점에서 가장.. 더보기 2017년 01월 물가는 계속 오르는구나... ㅠㅠ MK NEWS 계란·술·무·배추·라면…사람이 먹는 것은 다 오르는듯(종합) 농축수산물 가격 3배까지 폭등…설 앞두고 `물가대란` 우려 계란·무·양배추·당근·두부…안 오르는 게 거의 없다 연초부터 서민들의 밥상 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에 라면 등 가공� news.mk.co.kr 더보기 삼성이 하만을 인수... 아... 정말 장난 아니구나... 삼성이 하만을 인수하다니.... 음향기기와 자동차를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하만'에 대해 들어보지 못했을 수 있다. 그런데 조금만 관심을 가져보면 얼마나 엄청난 회사인지 알게 된다. 하만은 전세계 카오디오 시장의 40%가 넘는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는 회사이다. 40%는 절대 작은 수치가 아니다. 그것도 한국 시장이 아니라 전세계 시장이다. 하만은 소유하고 있는 브랜드가 상당하다. 이제 슬슬 감이 오고 있는가?? 우리가 조금만 고개를 돌려 보면 보이는 브랜드 들이다. 그런데 삼성이 왜 카오디오 시장의 40%가 넘는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회사를 인수했을까?? 여기서 차량을 들여다 보면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카오디오는 차량의 디자인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더보기 명견만리. 4차 산업 혁명은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대박~ 새로운 수학교육~! 필자는 첫째가 나온 이후로 매우매우 교육에 대해 관심이 많아졌다. 심지어 내년 1월 중순엔 둘 째가 나올 예정이다... 지자스;;;; 필자는 곧... 아이 2명... 자연스레 이 아이들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라는 고민부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라는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있는 요즘이다... 매일 듣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라는 라디오가 있다. 필자는 팟캐스트로 듣는다. 무튼 이곳에서 주기적으로 경제콘서트를 여는데 최근 주제는 교육이었다. 경제 방송이다 보니 돈 되는 교육은 뭔가가 포인트긴 하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교육을 바라보는 것도 이해가 된다. (얼마 전 간단한 후기를 블로그에 썼으니 보세요~ //http://onuhwan.tistory.com/117.. 더보기 2016.11. 대구 시국대회. 대구 고등학생의 자유발언 어른인 나를 부끄럽게 만드는 대구 고등학생의 자유발언... 과거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움직여야 한다. 11/12 내 나라다... 모이자.....!!!! 더보기 [손에 잡히는 경제] 경제 콘서트 4탄. 경청 후기. 돈 되는 교육 이야기. 아이가 있는 부모라면 누구라도 관심 갖을 이슈~! 바로 교육이다~! 나도 아이를 키우고 있고, 새로운 아이가 내년에 나올 예정이다. 그렇기에 당연히 교육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앞으로 미래가 어떻게 될까? 이또한 역시 중요하다. 빠르게 변하고 역동적인 시대인데, 그러나 역설적으로 경제는 저성장 시대. 그렇기 때문에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떤 흐름 가운데 서 있느냐가 앞으로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지점이 될 것이다. 연세대 경제학부 성태윤 교수가 손경제가 주관한 경제콘서트에 나와서 강연한 이야기를 갈무리 해봤다~ "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직업과 교육에 대한 이야기 " 경제 학자의 눈으로 봤을 때 어떠한가~~ 라는 컨셉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1. 자녀의 학업 성취는 무엇이 결정하는가? 부모가 어떠 어떠한 것.. 더보기 혼밤, 혼술, 혼영.... 혼밥, 혼술, 혼영... 이란 단어가 매우 익숙해지는 요즘이다. 혼술... 혼자 술마시기.... 혼영... 혼자 영화보기... 자연스레 그와 관련된 물건과 식품들도 점점 많아지는 추세이다. 경제 방향도 그와 맞물려 돌아가게 된다. 요즘엔 부동산도 큰 평수보단 상대적으로 작은 평수들이 인기가 많다. 그 말은 수요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숫자로 한 번 보자. 1인가구가 520만... 그 중 가장 많은 비중이 30대. 그 다음은 70대... 저 연령대를 생각해보면 비혼 & 독거노인... 이 상당 수를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비혼. 그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럴 수 없는 환경과 상황이다. 사람들의 원함과 상관 없이 그럴 수 밖에 없는 곳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독거노인. .. 더보기 부산 감만동 사고... 급발진..... 위법 행위의 자연스러움... 2016년 8월 2일 부산 감만동에서 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사고가 있었다. 결과를 정리하면 현대 산타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트레일러를 들이받아 4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이다. 사고난 차량의 모습이다. 사고가 얼마나 끔찍했는지 알 수 있다. 이런 저런 사건 사고가 참 많이 일어나서 점점 무뎌지는 것 같다. 자극이 지속되다 보면 그 자극에 무뎌지고 더 큰 자극이 있어야 반응하는 것 처럼 말이다. 필자가 이 사건에 반응하고 지속적으로 마음에 안타까움이 있는 것은 아마도 사고에 감정이 이입이 되서 그런 것 같다. 사고의 사망자는 60대 여성, 30대 여성, 3살 남아, 2살 여아. 딱 봐도 가족이다. 가족이 놀러가다 사고가 난 것이다. 그 중에 살아남은 60대 남성. 할아버지이다. 그리고 아이들의 아버지는 .. 더보기 [ohmynews]침팬지도 비웃을 '은마아파트 경고문' 인간은 공감의 존재다. 공상과학소설가인 필립 딕은 "공감 없는 사람은 실수로 만들어진 로봇이나 다름 없다"고 말했다. 제레미 리프킨은 '공감(empathy)'을 이렇게 정의한다."다른 사람이 겪는 고통의 정서적 상태로 들어가 그 고통을 자신의 고통처럼 느끼는 것."대단히 심오한 능력인 것 같지만, 사실은 침팬지 같은 유인원에서도 발견되는 특성이다. 공동생활을 하는 동물들에게 공감의 능력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남의 고통은 아랑곳 없이 제 욕심만 채우려 들 것이고, 서로 싸우다 결국 아무도 살아남지 못하게 된다. 예컨대 300년 후면 소멸하게 될 한국인들처럼 말이다. (영국 옥스포드대학의 데이비드 콜먼 교수는 한국이 현 출산율을 지속하면 300년 후에 인구 감소로 소멸하는 첫 국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