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를 가입할 때 돈이 투입되는 방법에 따라 수수료 방식이 달라진다. 달리 표현하면 납입하는 형태에 따라 다르다.
크게 3가지로 분류가 된다.
적립식 |
거치식 |
임의식 |
- 적립식 : 매달 일정 금액이 투입이 된다
- 거치식 : 목돈을 한 번 투입하고 그 돈이 굴러가는 것
- 임의식 : 적립식 & 거치식의 복합
그러면 다른 방법을 다 사용할 수 있는 임의식으로 하게 하면 되지 왜 3가지로 나눠놓은 것일까?
겉으로 보기에는 임의식으로 하는 방법이 매달 일정한 금액을 넣는 적립식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그러게 하다가 목돈 생기면 목돈을 넣을 수도 있고 장점이 많아 보인다.
그러나 빛이 강하면 그림자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임의식에는 펀드를 해지할 때 환매수수료와 환매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펀드를 해지할 때 수수료가 존재 하다. 이 정도를 유지를 해야 환매 수수료가 없습니다. 라고 판매사들이 이야기를 한다. 이 기간이 보통 90일 정도 된다. 적어도 3개월을 유지를 해야 수수료를 떼이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환매수수료는 수익난 것의 절반이나 그 이상(50~70%) 수수료를 뗀다. 수익이 10만원 나면 5~7만원 정도는 환매수수료를 떼고 주는 것이다. 뭘 이리 많이 떼는거냐;;;;
그러면 수익난 것만 뺄 수 없나? 라고 생각해볼 수 있지만, 투자해서 수익이 난것은 수익이 난거고, 그것을 환매를 해야 결국 내 돈이 되는 것이다. (이것도 돈이 투입되는 방법에 따라 다르다)
위에 서 말한 것처럼 투자 되고 있는 돈의 일부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임의식 방법이다. 적립식, 거치식은 일부 환매가 불가능하고 전부 환매를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나중에 다시 투자 하고 싶을 때 다시 투자통장을 개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결국 자신의 상황에 따라 적립식으로 할지, 거치식으로 할지, 임의식으로 할지 잘 결정하고 투자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번거로움을 없애고, 수수료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결국 실전 정보는 아는 사람만 아는 것이다.
[문의 및 상담 안내]
카톡 : temptress
손전화: 010-9505-8387
'저축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장 쪼개기 (0) | 2017.07.28 |
---|---|
자동차는 금융상품이다~!! 비교하자~!! (0) | 2017.05.24 |
개인이 할 수 있는 안전한 투자!!!?? (0) | 2017.05.15 |
금융!!! 질문하자~~~ 기존 프레임을 깨야 한다~!!! (0) | 2017.04.28 |
물가상승률을 뛰어넘어야 본전이다. (2) | 2017.04.25 |